홍보/보도자료

“경남 자활사업 성공하려면 공공일자리와 공조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11-16 09:14

본문

  • 경남의 자활사업 성공을 위해 사업경쟁력 확보를 통한 공공자원 연계와 공공일자리 분야 및 관계 공무원과의 공조가 수반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경남지역자활센터협회·경남광역자활센터가 공동 주최한 2022 경남자활정책토론회가 15일 경남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도내 자활센터와 자활기업 등이 참여한 이날 토론회는 자활현장의 고민과 과제, 그리고 자활사업의 활성화 방향을 공유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사회투자지원재단 김유숙 상임이사는 ‘공공자원 연계를 통한 자활사업 활성화’ 주제 발제를 통해 지속 가능한 자활사업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김 이사는 “자활사업은 지역만의 특화된 사업으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지속적인 사업 모델을 갖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또 전통적으로 참여주민이 진행하고 참여할 수 있는 사업 범위가 한정적이며 주민 역량을 중심으로 하니 성공률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면서 공공자원과의 연계 필요성을 피력했다.

    이어 “여느 기업처럼 당연히 수요가 있어야 하고, 소비자로부터 우리가 채택될 수 있도록 제품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보편화되어야 하며, 또 지역사회로부터 사랑 받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면서 “자활은 사회적경제 테두리 안에 있어 일반 기업보다 공공영역에서 우선 구매 등으로 유리할 수는 있으나 제품력이 떨어진다면 아무리 좋은 목적의 기업이더라도 찾지 않는 건 당연지사”라고 강조했다.

    이에 자활사업의 성공적인 공공시장 활용을 위해서는 노인 등 공공일자리와의 공생관계 모색과 지자체 일자리네트워크 진입이 우선돼야 한다는 제안이 잇따랐다.

    한국자활복지개발원 이상아 선임연구원은 토론에서 “기존 자활사업이 탈수급에 초점을 맞췄다면 제2차 자활기본계획은 더 나아가 참여주민의 질적 성과 측정으로 발전했다”며 “이번 정부 들어 노인 일자리가 6만개 줄고 대신 사회서비스·시장형 일자리가 늘어난다. 이 영역은 식품제조판매·매장운영 등 업종으로 지역자활센터나 사업단이 그간 해오던 분야로 공공 일자리와 경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경쟁구로조 가져가면 답이 없는 만큼 각각이 할 수 있는 분야를 논의하는 등 상생하는 구조로 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연구원은 이어 “지자체는 어떤 영역의 일자리를 얼마나 창출할지 공시하게 돼 있고 더불어 일자리 네트워크를 운영해야 하는데 사실상 이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지역자활센터는 거의 없다”면서 “네트워크에 광역센터, 지역센터가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 시군 공무원들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하고 센터 스스로도 관심을 기울여야 자활이 가야할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현미 기자 hmm@knnews.co.kr